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퀀트 백테스트 로직과 수익률 및 MDD

by Gracious_dani 2023. 8. 10.

퀀트에 대한 수익률이나 MDD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하신 분을 위해 필자가 이용하는 퀀트킹에서 여러 로직을 백테스트로 돌려보았습니다. 

 

 

연평균수익률은 54.03%

MDD는 -23.41% 

퀀트 백테스트 로직

운용기간은 20년으로 설정하고 편입종목은 20개 종목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금액이 크지 않기때문에 우선 시가총액은 소형주위주로 하기위해 하위 20%로 설정하고 GP/A(매출총이익을 자산으로 나눈 지표)OPM(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지표) 을 높은순서로 중요시하며 비중을 높였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위험을 감수하기위해 매출채권회전일수를 최대 200일 이하로 하고 부채비율도 200%미만인 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업의 기본적인 성장을 보기위해서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지배순이익 증가율을 비중을 높게 주었습니다. 그리고 주식을 하면서 기본적으로 많이들 보시는 PER(시가총액을 지배순이익으로 나눈 지표) 과 PBR(시가총액을 지배주주소유지분으로 나눈 지표)또한 로직에 넣어두었습니다.

 

 

나머지는 나만의 지표 몇개 추가하고 항목별 비중으로 살짝 변동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업종에서 정부와 관련된 금융업종은 백테스트에서 전부 제외하였고, 중국기업이나 스팩상장(기업인수 목적회사로 다른 법인과 합병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특수목적회사라고 보면 됩니다)한 기업도 제외하였습니다. 스팩은 실체보다는 페이퍼컴퍼니라하는 기업인 경우가 있어 위험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부동산 관련 투자자자금을 모아 간접투자를 하게하는 리츠기업도 제외하고, 지주사도 제외시켰습니다. 지주사는 다른 기업들을 지배하는 기업으로 피라미드식 지배가 될 수도 있기때문에 합병이슈, 가족상속이슈 등 여러이슈몰이를 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주가상승이 제한적일 수 있어 제외하는 편입니다. 

 

퀀트 백테스트 수익률 및 MDD 결과

연평균수익률은 54.03% 아래와 같이 수익이 나면 참 좋겠지만, 개인의 원칙을 지키면서 유지하는 것은 참 쉽지 않습니다.  왜냐면 MDD는 -23.41% 가 막상 상황에 놓이면 잔고를 들여다보면서 원칙을 유지하고자 하는 마음이 심하게 흔들리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위에 보시면 거래정지 종목도 보입니다. 막상 거래정지를 당하면 초조해지는 마음은 어쩔 수 없습니다. 최근 에코프로형제의 상승으로 코스닥 자금이 많이 빨려나갔고 최근 1년 연평균 수익률을 보시면 알겠지만 (-7.10%) 포트 전체 수익률이 많이 무너졌었습니다. 하지만 퀀트를 못먹어도 고하게 됩니다! 이유는 상승을 할때는 정말 무섭게 상승을 해서 몇개의 종목이 나머지 종목을 비트해버리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20년간 월간 월말기준 누적 수익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개인종목을 잘 골라서 정말 슈퍼개미가 되신 분들도 있지만 그냥 코스피 코스닥 지수를 투자하였다면 퀀트를 이기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일을 하면서 개인종목을 공부해서 기관과 슈퍼개미와 시장을 이길 자신이 없습니다. 연평균 수익률 54.03%이 넘는다고 하지만 사실 10프로 이상만 수익이 나서 예금금리보다는 잘하는 투자로 오래 가고싶어 퀀트를 하게되었습니다.

 

 

관심 있다면 퀀트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혹 필자가 가입한 카페에 관심이 있다면 무료오픈데이에 한번 쯤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퀀트킹 네이버 카페로 가기